[카테고리:] 미분류
운전면허증 갱신하려면(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안내가 왔습니다. 올해 안에 갱신하면 된다고 하는데 생각없이 갱신했다가 이번 기회에 한 번 제대로 알아봤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
- 운전면허증의 갱신 주기나 갱신 해야하는 기간
- 7년 무사고 시 ‘2종 보통’에서 ‘1종 보통’으로 전환의 장단점
- 일반 운전면허증과 모바일(IC) 운전면허증의 장단점
-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의 장단점(온라인 / 경찰서 방문 / 면허시험장 방문)
등입니다.
운전면허증의 갱신 기준
한국도로교통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1년 12월 8일 이전 면허취득자/면허갱신자는 9년 주기와 6개월 기간이나 한 번이라도 갱신한 이력이 있는 분은 최초 취득일자가 아닌 갱신일 기준으로 변경됩니다.
제 기준으로는 최초 취득일이 2005년 8월 31일(2종 보통)이지만 2015년 1월 5일에 갱신을 한 적이 있어 2011년 12월 9일 이후 면허갱신자 기준으로 적용을 받아, 10년 주기와 1년 기간의 적용을 받습니다.
7년 무사고 시 ‘1종 보통’으로 전환 장단점
2024년 10월 20일부터 2종보통 운전면허증 소지자가 7년 무사고 시 별도 실기시험 없이 1종 보통으로 전환 가능하다는 시행령이 생겼습니다. 1종 보통으로 전환하면 장점과 단점이 있을 듯 한데 확인해보겠습니다.
-
-
장점
- 운전 가능 차량 범위 확대
- 15인승 이하 승합차 운전 가능
- 11인승 카니발, 11/12인승 스타렉스 등
- 11인승 카니발은 승합차로 분류되어 연간 자동차세 저렴
- 11인승 카니발, 11/12인승 스타렉스 등
- 12톤 미만 화물차 운전 가능
- 10톤 미만 특수차 운전 가능
- 참고로 2종 오토 운전 가능 차량은
- 일반 승용차
- 10인승 이하 승합차
- 카니발 9인승, 스타렉스 9인승/10인승
- 4톤 이하 소형 화물차
- 제한적 특수 차량(캠핑카, 카라반)
-
단점
- 적성검사 대체 불가능한 분은 6천원 추가 발생
- 2년 내 국가검진 기록으로 대체 가능
- 2011년 12월 8일 이전 면허취득자/면허갱신자는 갱신 주기가 9년에서 7년으로 줄어 갱신 비용이 추가로 드는 단점이 있으니 유의하세요
- 적성검사 대체 불가능한 분은 6천원 추가 발생
-
무사고 여부 확인은 경찰철 교통민원24에서 가능합니다. 조회 > 운전면허 > 7년 무사고 메뉴를 통하면 아래와 같이 무사고기간을 알 수 있습니다. 미미한 사고가 있다고 제외되는 것은 아니니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환하실 분들은 관련 규정이 다시 변경되기 전에 전환하는 것이 실기시험 비용 및 제반비용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일반 운전면허증과 모바일(IC) 운전면허증 장단점
-
-
장점
- 편하다
- 핸드폰에 모바일(IC) 운전면허증 소지 가능
- 편하다
-
단점
- 갱신 시 칩 비용 5천원이 추가로 발생한다
-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
-
온라인
-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 신청
- 6개월 내 컬러사진 이미지 1매(3.5 * 4.5cm), 갱신비용(일반 1만원, 모바일 1.5만원)
- 3주 후 경찰서 또는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수령
- 2종에서 1종으로 전환 시 면허시험장 방문 수령만 가능
- 기존 운전면허증 반납
-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 신청
-
오프라인
-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신청
- 6개월 내 컬러사진 1매(3.5 * 4.5cm), 갱신비용(일반 1만원, 모바일 1.5만원)
- 당일 운전면허증 발급
- 경찰서 방문 신청
- 6개월 내 컬러사진 1매(3.5 * 4.5cm), 갱신비용(일반 1만원, 모바일 1.5만원)
- 3주 후 재방문 시 기존 운전면허증 반납
- 최초 방문 시 운전면허증 반납 후 택배수령(4천원 추가) 가능
-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신청
-
참고로, 해당되는 외국에서 사용할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영문운전면허증(국문겸용) 선택을 추천합니다. 비용은 추가되지 않습니다.
추천하는 운전면허증 종류 선택과 갱신 방법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일반 운전면허증으로 갱신하고 2종보통에서 1종보통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일반 운전면허증 선택 이유는 모바일 운전면허증보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으로 대체하기로 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경우 한 번 발급 시 평생 사용이나(재발급 비용 1만원) 모바일 운전면허증의 경우 가성비가 떨어진다고 판단하였습니다.
-
- 10년에 한 번 재발급 비용이 발생(1.5만원)
- 65세 이상 시 5년에 한 번 재발급 비용이 발생
- 75세 이상 시 3년에 한 번 재발급 비용이 발생
2종보통에서 1종보통으로 전환 이유는
-
- 더 많은 차량 운전이 가능
- 적성검사(신체검사) 비용이 추가로 들지 않음
- 2년 내 국가검진 기록으로 대체
- 면허갱신 주기가 내 경우는 동일
- 1종과 2종 모두 10년 주기 1년 기간